에게해 스터디원들과 함께하는 CS 간단 발표 및 독후감🍦
[1일1로그 100일 완성 IT지식] 63번 '표준과 프로토콜의 세계, 인터넷'
인터넷이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 - 컴퓨터끼리 연결하는거)
전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하게되면 저희가 인터넷 사용하듯이 서로 파일 주고받고 수많은 정보의 저장, 무료 정보 제공과 공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고(게임에서 바로 이동하고 만나는것 처럼), 유투브 스트리밍처럼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이 가능합니다.

전세계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뭐가 필요할까?
-> 이름 + 주소 + 경로 + 그리고 프로토콜

여기서 프로토콜이 중요한데, 프로토콜은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어떤식으로 주고 받을껀지 미리 규칙을 정해놓은 겁니다.
우리가 카페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먹으려면 점원한테 아이스 아메리카노 주세요 해야지 프라프치노 달라고하면서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나오길 기대하면 안되잖아요?
컴퓨터 간에도 똑같이, 어떻게 데이터를 요청하는지 어떻게 데이터를 건내주는지 서로 정해놓은 규칙이 있습니다. 그걸 포로토콜이라고 하고 저희가 아는 HTTP TCP/IP도 통신규약 프로토콜의 종류중 하나입니다.
[1일1로그 100일 완성 IT지식] 64번 '인터넷이 가능한 메커니즘'
먼 컴퓨터끼리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지만, 가까운 컴퓨터는 유선으로 연결된 이더넷 케이블이나 와이파이, 블루투스로 연결합니다.
와이파이랑 블루투스 연결은 다들 잘 하시니까 아실텐데 거리가 멀어지면 연결이 잘 안되고 가까우면 전자기기 끼리 연결이 되잖아요?

그것처럼 이더넷 케이블도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은 이 선을통해 연결이 가능합니다.
회사에서 이 선 꼽아서 컴퓨터도하고 프린터도 연결하고 집에 TV도 뒤에 저거 꽃혀 있잖아요? 그겁니다.

거리가 먼 네트워크는 인터넷으로 연결

1. 주소

2. 이름
근데 저 IP주소 외우고 있다가 웹페이지 접속하는 사람은 많지 않죠?
웹 상에서는 도메인 네임으로 접속해서 인터넷끼리 데이터 통신을 주고받게 됩니다.

3. 라우팅 (경로 설정)

또 라우팅이 필요합니다. 먼 거리의 컴퓨터끼리 연결할때 출발 컴퓨터에서 도착할 컴퓨터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찾을떄 중간에 게이트웨이라는 전자망을 통해서 가는데, 그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겁니다.
또, 라우팅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전화 통신망, 그리고 교통망 등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고 합니다.
4.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데이터 교환할때 정해놓은 규칙)

'CS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파일 시스템과 블록 (0) | 2022.08.13 |
---|---|
[소프트웨어] 컴퓨터를 작동하게 만드는 운영체제 (0) | 2022.08.11 |
[소프트웨어] 기술 표준의 중요성 &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0) | 2022.08.10 |
[소프트웨어] 구글 같은 서비스는 어떻게 개발할까? (0) | 2022.08.09 |
[소프트웨어] 작문과 비슷한 프로그래밍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