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99 출항
항해 첫 주가 끝났다.
스파르타.. 일정은 이름에 걸맞게 진행되었고, 항해원들은 비바람을 맞으며 허우적거렸다...
하지만 허우적거림도 잠시, 인정하기 싫었지만 사람은 맞으면서 배울때가 효율이 가장 좋았고
우리들은 얼굴에 붙은 머리카락과 낙엽을 때며 현실을 파악했다ㅠ
처음 보는 사람들, 기본9 to 9 의 일정(11시가 기본이더라), 등등 속에서 시작된 프로젝트.
불행인지 다행인지 우리팀은 조타실에 내가 들어갔고 부담스러웠지만 든든한 팀원들 덕에 첫 프로젝트는 잘 마무리됐다.
프로젝트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었는데 이번 프로젝트를 잘 끝마치며 말끔히 치유되었고, 앞으로 개발자로서의 방향성이 조금 더 잡힌 것 같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너~무 깨닫게 되었다. 물론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도 너무 중요하지만 Git 이라는 개발자들의 기본 커뮤티케이션의 중요성을 알게되었다..
진행하다보니 웹개발을 1~2달이라도 더 해본 내가 업무를 조금씩 더 맡았었는데, JWT 방식 로그인 회원가입 진행하고나니 팀원이 맡은 유틸페이지가 전혀 구현이 되지 않아서 전에 조금이라도 해본 본인이 유틸페이지 등등까지 맡게되었다.
나도 뭐 구현까지 해본건 아니어서 JWT나 유틸페이지나 고민도 많이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코드도 많이 작성하고 공부도 많이 하게된것 같다. 프로젝트 기간에는 업무가 좀 부담스럽나 싶었지만 끝나고 나니 얻어가는게 정말 많았다.
뭐 이것저것 일기처럼 쓸 생각이었는데 WIL 키워드를 정해줘서 JWT에 대해 설명을 잠깐 해야겠다.
1. JWT
JWT 뭔 소리여~ 아직도 정확하게 이해한건 아닌데, 그냥 내가 코드 짠것도 있고 하니 내가 느낀 특성을 말해보면,
id pw 입력하고 들어온 사용자에게 너 제대로 id pw 입력하고왔으니까 해당 웹페이지를 사용할 수 있는 자유이용권을 준다~ 정도다. 로그아웃 할때는 자유이용권 뺏어버리면됨!
(재미없는 내용이라 이정도만 하고 넘어가고 싶지만)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보자면,
1) 로그인시에 사용자의 id와 pw를 암호화해 토큰화시킨다(JWT 메서드로 암호화함). Token->브라우저에선 쿠키라고 부른다. ($Cookie. 라는 jQuery 문법도 따로있을 정도로 많이 쓰는 개념)
2) db에 저장된 id와 pw를 입력하고 접속한 사용자에게 토큰을 전달해주고
(이때 토큰을 Header로 바로 전달주는 방식과 -> 브라우저에 쿠키값을 꽃음
Body로 넘겨주는 방식이있음 -> response로 프론트쪽으로 넘겨주는 방법)
3) 로그아웃시엔 토큰만 빼았으면 된다.
물론 회원가입시에 pw 또한 그냥 db에 저장하면 안되고 해쉬함수를 통해 pw를 암호화해 저장한다.
기본적으로 pw와 Token 값이 암호화되어 있어 db에 저장된값을 쓰기가 어려워 Jinja를 사용하는게 수월하당
끝~!
매일 TIL 남기고 있으니께 여기다가도 링크 남겨놔야지 뭐 프로젝트때 TIL은 아니구 프로젝트 끝난 금요일부터 알고리즘 하고 있는데 그때 TIL임!
https://translucent-bit-b63.notion.site/2-e144c49e78b24cb5b1d12aad7695e664
다들 낙오하지 말자구~
'WIL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월 TIL(Q. 브라우저에 ‘naver.com’을 입력하면?) (0) | 2022.10.14 |
---|---|
22/9월 TIL(Feat.항해99) (0) | 2022.09.11 |
22/8월 WIL(Feat.항해99) (0) | 2022.09.04 |
22/7월 5주차 WIL(Feat.항해99) (0) | 2022.08.01 |
22/7월 4주차 WIL(Feat.항해99) (0) | 2022.07.24 |